본문 바로가기
IT 일반 정보

URL에 표시되는 특수문자 의미

by 떠도리c 2024. 8. 29.
반응형

URL 특수문자 의미

?  질의 문자열 구분자. ? 문자 오른쪽에 위치한 URL 문자열 부분은 질의 문자열을 의미한다.

&  파라미터 구분자. 질의 문자열에서 이름=값으로 나타나는 파라미터 쌍을 구분하기 위해 사용한다.

=  질의 문자열을 사용하여 파라미터를 전달할 때 파라미터명과 파라미터 값을 구분한다.

+  공백문자로 해석된다.

:  프로토콜 구분자. URL 문자열이 시작해서 : 문자를 만나면 리소스 요청시 사용한 애플리케이션 계층의 프로토콜을 표시한 부분이다.

#  웹 페이지 안에서 어떠한 지점을 표시할 때 사용.

%  16진수로 인코드된 문자들을 표시하기 위한 표시 문자로서 사용된다.

@  URL이 인터넷 이메일 주소를 표시할 떄 mailto: 의미로 사용하거나 사용자 로그인 권한을 비밀번호로 보호된 리소스에, 특히 FTP를 통해, 전달할 때 사용한다.

~  유닉스와 같은 다중 사용자 시스템에서 사용자의 홈 디렉토리를 표시할 떄 사용한다. h=/

캐릭터
URL의 목적
:
- 프로토콜 구분자
- URL 맨앞에 : 캐릭터 앞의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의미
/
- 도메인 및 디렉토리 경로를 의미
#
- 웹 페이지 안에서 어떠한 지점을 표시할 때 사용
?
- 쿼리 구분자
- ? 캐릭터 다음에 나오는 문자열은 쿼리 문자열을 의미함
&
- 파라미터 구분자
- 쿼리 문자열에서 key=value 로 나타냄
- 파라미터 쌍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
@
- 도메인과 사용자 이름 및 비밀번호 구분
%
- 16진수 인코딩 문자를 표현하기위해 사용
+
- 공백 문자 의미
- URL 쿼리에서 파라미터를 전달할 때 파라미터=value를 나타낼 때 사용
반응형